본문 바로가기
츄꼬미의 일상

3월 1일 삼일절 :: 태극기 다는 방법 국기 게양 방법

by 츄꼬미 2022. 5.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츄꼬미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대한민국이 독립이 된 3월 1일 삼일절 날입니다.

국경일인 오늘은 태극기를 게양해야 하는 날인데

잇님들 모두 태극기 준비해 주셨을까요?

오늘 츄꼬미가 가지고 온 정보는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다는방법 #게양하는방법

가지고 왔는데요~ 같이 한번 확인해 보실까요~?

태극기 다는 날 / 태극기 개 양하는 날

- 3.1절 (3월 1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개천절 (10월 3일)

-한글날 (10월 9일)

-국군의 날 (10월 1일)

-외 정부 지정일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은 위에는 확인이 가능한데요~

삼일절도 국가를 게양하는 날이랍니다!

모두 알고 계셨죠~? :)

위에 확인되는 국경일에는

태극무늬 빨간 부분이 하늘로 향하게 하고~

깃봉과 깃면이 떨어지지 않게 맨 끝에 달아주시면 됩니다~

(이미지처럼 깃봉과 국기가 떨어지지 않게 달아준다.)

그리고 국기를 게양하는 날 중에 조의를 표하는 조기 게양을 하는 날이 있는데요.

태극기 조기 게양하는 날

- 현충일 (6월 6일)

-국장 기간 (국가 장례 기간)

- 국민장일 / 정부 지정일

조의 표하는 조기 게양 시 태극기를 게양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태극기를 게양하는 방법과는 조금 다른데요~

 

태극기의 세로 단면의 길이만큼 아래로 달아야 한다고 합니다.

깃대가 짧아서 완전한 조기를 달 수 없는 경우는

바닥과 벽 등에 닿지 않도록 최대한 내려 달아야 한다고 합니다!

단, 국기를 게양해야 하는 날 심한 비·바람 등으로 국기가 훼손되면

국기의 존엄성이 유지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달지 않는다고 합니다!

국기를 다는 위치

주택의 집 밖에서 보아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파트들은 다 그렇게 달 수 있게 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단독주택은 ↓ 아래 사진처럼 달아 주시면 된다고 합니다~!!

주택의 왼쪽

주택의 정중앙

태극기는 이렇게 달아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혹시라고 태극기를 버려야 하는 날이 온다면

그냥 버리지 마시고 소각해 주시거나, 가까운 주민센터나 민원실에 방문해 버려주셔야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경기도의회 공식 블로그 이미지 참조

삼일절우리 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날로 한국의 국경임으로써

저의 국가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신

많은 독립운동가분들을 위해서라도 국기를 게양해서

감사하는 마음 간 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국가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시고 노력하신 모든 독립운동가 님들의

노고에 항상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항상 마음에 새기고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저의 긴 글을 읽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앞으로 계속 저의 글을 보고 싶으시다면 구독추가

부탁드립니다

저는 또 다른 좋은 글로 돌아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 뵙겠습니다. 츄하-!

 
728x90
반응형

댓글